복식부기 vs 간편장부, 나도 해당될까? 🤯 헷갈리면 무조건 봐야쥬!
연 매출 얼마면 뭐 해야 한다고요...? 업종별 장부 의무 한방 정리!
안 그래도 바쁜데... 세금 관련된 용어들 하나하나 뜯어보면 진짜 머리 터질 것 같더라구요ㅠ
복식부기니 간편장부니, 기준경비율이니 단순경비율이니… 도대체 나한테 해당되는 건 뭐고,
장부는 또 뭘 써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이런 상황, 저만 그런 거 아니쥬...?
요즘 특히 3월이라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 슬슬 시작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이 시점에서 “내가 복식부기 대상자야?” 아니면 “간편장부만 쓰면 되는 거야?”
헷갈리는 분들 진짜 많을 것 같더라구요.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서,
직업군별 수입 기준에 따라 어떤 장부를 써야 하는지,
그리고 기준경비율이니 단순경비율이니 하는 복잡한 세무 용어들까지!
한 번에 싹 정리해드릴게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지만,
지금 읽고 나면 “아~ 나 이거였네!” 하고 고개 끄덕이실걸요?ㅎㅎ
자 그럼, 지금부터 천천히, 같이 파보실까용?
1️⃣ 업종별로 나뉘는 ‘가군, 나군, 다군’? 이거 진짜 중요함!
세무에서 자주 나오는 “가군, 나군, 다군” 이라는 단어. 처음 들으면 이게 뭔가 싶잖아요?
근데 요게요, 내 수입 기준에 따라 복식부기를 해야 할지, 간편장부만 써도 되는지 딱 정해주는 핵심 기준이에요.
예를 들어 도소매업처럼 매출이 크고 단순한 업종은 ‘가군’, 제조나 음식점 같은 데는 ‘나군’, 부동산임대나 교육서비스 같은 건 ‘다군’으로 구분돼요.
업종군마다 금액 기준도 다르기 때문에, "나 도소매인데 수입 얼마야?" 이런 질문부터 하셔야 한다는 거~
2️⃣ 복식부기? 간편장부? 기준, 단순 경비율? 뭐가 이렇게 많아유ㅠ
우선 복식부기는 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 회계 방식이고요, 간편장부는 소규모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들이 많이 사용해요.
근데 여기서 끝이 아니라, 수입금액이 작으면 아예 장부 없이 경비율로도 신고할 수 있다?
바로 그게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이에요. 기준은 조금 더 디테일하게 비용을 인정받는 거고, 단순은 말 그대로 단순하게~
다만, 단순경비율은 인정되는 비용이 작기 때문에, 실제로 남는 돈이 커지면서 세금도 많이 나올 수 있음 주의!
3️⃣ 수입 기준표, 이거 보면서 내 상황 체크해야쥬~
이제 중요한 거. “내 수입이 얼마일 때, 어떤 장부를 써야 하는가?”
예를 들어 가군(도소매업 등)은 연 매출이 3억 이상이면 복식부기! 3억 미만은 간편장부!
나군(제조업 등)은 1억 5천, 다군(부동산 임대 등)은 7천 5백이 기준이에요.
그리고 경비율은 또 다르게 계산해서, 단순경비율은 가군은 6천 미만, 나군은 3,600만, 다군은 2,400만이하일 때 가능!
요 숫자만 외워도 세금 신고 준비 절반 끝난 셈이쥬 ㅎㅎ
4️⃣ 전문직 사업자? 무조건 복식부기! 이건 예외 없음
여기서 포인트 하나 더!
변호사, 회계사, 의사, 약사, 수의사 같은 전문직은 수입이 작든 크든!
무조건 복식부기 대상이에요ㅠ 왜냐면 이분들은 아예 소득세법상에서 “복식부기 해야 한다!”고 정해져있거든요.
또한 이런 전문직 사업자나 신용카드 발급을 일부러 회피하는 사람은 단순경비율 아예 불가!
즉, 경비율 낮추는 꼼수도 안 통한다는 거 ㅎㅎ
5️⃣ 공동사업자나 겸업자, 계산법이 더 복잡해진다!?
공동사업장처럼 파트너랑 같이 하는 경우, 수입금액 합산해서 판단해요.
구성원이 동일하면 합쳐서 기준 보셔야 하구요, 다르면 따로 계산.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업종을 운영하는 겸업자는 더 복잡한 계산법이 있어요.
주업종 기준금액과 수입 비율로 계산해야 해서...
솔직히 이건 계산기 두드려도 어지럽쥬? 이런 상황은 세무사님 도움 받는 게 최고임다😅
6️⃣ 신고 안 하면 가산세? 무섭지만 현실임다ㅠ
장부 작성 안 하고 신고하면 무신고 간주되어 가산세 폭탄 맞을 수 있음!
복식부기 대상자가 장부 없이 신고하면 진짜 큰일 나요…
무신고 세액의 20%는 기본, 여기에 수입금액과 기타 계산 기준까지 엮이면 세금 확 뛴다구요;;
간편장부 대상자라도, 무기장 상태로 추계신고 하면 일부 가산세 나올 수 있고요.
근데 반대로, 간편장부 대상자가 복식부기로 하면 최대 100만원 세액공제 받는다?! 요건 또 꿀팁이쥬 ㅎㅎ
📌 자주 궁금한 거, 요렇게 정리해봤쥬!
🔹 수입이 2023년에 확 늘었는데, 기준은 2022년 거 보나요?
👉 원칙적으로는 직전연도인 2022년 수입금액 기준인데요,
만약 2023년에 수입이 갑자기 증가해서 복식부기 기준 넘으면? 예외로 2023년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음다! 그러니까 상황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히 체크해보셔야 해요.
🔹 저는 신규 사업자인데 복식부기 안 해도 되나요?
👉 2023년에 처음 사업 시작하신 분들은 복식부기 대상 아니에요~
간편장부 대상자라면 무기장 가산세도 안 붙고, 처음이라 부담도 덜하쥬! 다만, 내년엔 수입금액 따라 대상 달라질 수 있으니 미리미리 챙기시구요.
🔹 인적용역인데 나군인가요 다군인가요?
👉 요거 정말 많이 헷갈리는 포인트! 인적용역 사업자는 기장판단할 때는 다군, 경비율 판단할 때는 나군 기준을 따릅니다. 같은 업종인데 기준이 달라요! 이런 디테일도 챙겨야 불이익 없이 신고할 수 있슴미다😎
📍알아두면 진짜 도움되는 정보였쥬?
장부 써야 하는 기준이 업종마다 이렇게 다르다는 거, 사실 직접 부딪히기 전엔 몰라요ㅠ
근데 요거 한 번만 딱 정리해두면,
신고 시기마다 “나 뭐 써야 해?” 이런 고민 줄어들고, 세금 아끼는 데도 훨씬 수월하쥬~
특히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분들, 요 정보는 꼭 챙겨가셔야 함다!!
🤔 혹시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지금 보고 계신 분들 중에도
"헉 나 다군이었네.. 복식부기 해야 하네.." 하신 분 계신가요?
아니면 “간편장부 대상자인 줄 알았는데 수입 기준 넘었잖아!” 이런 상황도 있으실 듯해요~
궁금한 거 있거나 내가 어떤 대상자인지 모르겠다 하시면 댓글이나 메일로 물어보셔도 되쥬 ㅎㅎ
다 같이 똑똑한 신고 시즌 보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