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은 했는데 돈은 덜 들어온다?! 3.3%의 진실, 알려드립니다
프리랜서 일 해보신 분들은 다 공감하실 거예요…
일 열심히 하고, 고생한 만큼 돈 받는 날!
기대하며 통장 확인했는데??
엇?? 뭐야 왜 금액이 어중간하지?! 😱
바로 그 원흉(?)이 3.3% 세금이쥬…
근데 이게 단순히 “떼니까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면
나중에 종합소득세 시즌에 멘붕 오는 구조입니다요ㅠㅠ
심지어 제대로 이해 못하고 연말정산도 누락돼서
돈 더 내는 경우도 있고요…
그래서 오늘은!
프리랜서 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3.3% 세금이 뭔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내가 얼마나 내고 돌려받을 수 있는지’까지!
완전 찐하게 알려드릴게요~
요 글 하나면, 세금 떼일 때도 덜 억울하고
나중에 세금신고 할 때도 자신감 업!
그럼 지금부터 세금 계산기 뚜드려봅시다요~ ㅋㅋ
1. 3.3%는 무슨 세금의 합인가요?
프리랜서 계약서 보면 항상 나오는 3.3%
이거 그냥 “세금”이 아니라 소득세 3% + 주민세 0.3%의 합이에요!
즉, 사업소득자로 인정받는 프리랜서는
수입 발생 시 원천징수로 3.3%를 미리 떼는 구조라는 거~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
이게 최종 세금이 아니라, 말 그대로 ‘선납’이라는 점임미다!
나중에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정산하게 돼요.
2. 예를 들어 계산하면 더 쉬워요!
예를 들어 내가 어떤 업체랑 100만원에 일했다 쳐요~
그러면 실제 입금은 100만원 - 3.3% = 96만7천원이 되는 거죠!
그 3만3천원은 국가에 세금으로 미리 떼어가는 거고요.
여기서 중요한 건, 원천징수영수증 받아두는 거예요!
이게 없으면 나중에 세금 돌려받을 때 증빙이 안 됨…ㅠㅠ
3. 3.3%만 낸다고 끝이 아님!
많은 분들이 “3.3% 냈으니 세금 다 냈겠지~” 하는데
그건 진짜 큰 착각! 😨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대상자라서
매년 5월에 종소세 신고 꼭 해야 돼요.
내가 벌어들인 전체 소득에 따라
더 내야 할 수도 있고, 돌려받을 수도 있음미다!
이거 안 하면 가산세까지 나올 수 있음! 조심하셔야 돼요!
4. 부가세는 따로인가요?
헷갈리쥬? 근데 부가세는 간이과세자 또는 일반과세자 등록한 경우에만 발생해요!
단순 프리랜서는 부가세랑 무관한 경우가 많고,
‘3.3% 프리랜서’는 대개 부가세 신고 안 합니다.
근데! 본인이 사업자 등록해버리면 얘기가 달라짐!!
그땐 부가세도 따로 챙겨야 하니까 주의하셔야 돼요~
5. 세금 계산기 앱도 활용해보세유~
요즘은 ‘3.3% 프리랜서 세금 계산기’
네이버에도 있고, 앱스토어에도 많쥬~
간단한 수입만 넣어도
‘얼마 떼고, 얼마나 환급 가능성 있는지’ 계산 다 해줘요!
세무사 찾아가기 전에,
요런 계산기 써보면 감 잡는 데 진짜 유용함미다!
이럴 땐 어떻게? 실전 질문 모음!
🔹 프리랜서 계약서에 3.3% 말고도 뭔가 더 떼던데요?
👉 간혹 기타 공제 항목 붙는 곳도 있어요.
복리후생비나 회비 형태로 빠지는 경우도 있는데,
그건 세금과 별개니까 무조건 확인하시고 항의할 수 있음미다!
🔹 3.3% 안 떼고 그냥 100% 입금해주는 곳은요?
👉 그럼 원천징수 안 한 거니까,
그 금액 전부 내가 나중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해요!
영수증이나 입금내역 잘 챙겨두세유!!
🔹 종합소득세 신고 못하면 어떻게 돼요?
👉 신고 안 하면 무신고 가산세 + 납부지연 가산세
이중으로 나올 수 있어요 ㅠㅠ
게다가 미납 상태 오래 가면 체납자 등록도 됩니다요… 꼭 하셔야 돼요!
돈 벌면서 더 아끼는 법, 세금이 시작입니다!
프리랜서는 돈 버는 만큼
내가 세금도 책임져야 하는 구조라서
진짜진짜 공부 안 하면 당합니다… 😭
근데 조금만 알면
내가 낼 세금도 줄이고,
돌려받을 수 있는 돈도 꽤 많아요!
이게 바로 아는 만큼 지키는 시대라는 거죠~
오늘 글로 ‘3.3%’에 대한 감 좀 잡으셨다면
다음엔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전혀 안 무서우실 거예요~!!
(진짜… 해보면 별 거 아니거든요 ㅋㅋ)
혹시 3.3% 세금 때문에 억울했던 경험 있으셨나요?
"이렇게 많이 떼가는지 몰랐다…"
"돌려받는 것도 몰라서 손해봤다…"
이런 경험 있으셨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유~
다른 분들도 참고하고, 같이 똑똑해지면 좋잖아요? 😊